이번 포스팅은 '2021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방법'입니다.
얼마 전인 5월 30일부터 개별공시지가 조회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개별공시지가 조회는 PC, 모바일 둘 다 확인이 가능합니다. 개별공시지가는 여러 곳에 활용되오니, 필요할 때마다 바로바로 조회하려면 그 방법으 미리 숙지하고 있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1. 개별공시지가 의미와 활용
개별공시지가란
- 국토교통부 장관이 매년 고시하는 개별토지의 단위면적당 가격을 의미합니다.
개별공시지가 활용처
- 보통 각종 세금의 기준금액에 사용
- 국세, 지방세 부과기준 근거
- 각종 개발 부담금, 토지매수, 국공유재산 사용료 산정 시 사용
- 국세(상속세, 증여세, 양도소 등 세 등)의 산출 근거로 사용
- 지방세(취등록세, 재산세 등)의 산출근거로 사용
2. 2021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방법 (PC)
검색엔진에서 '개별공시지가 조회'라고 검색하면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부동산 공시 가격 알리미'라는 홈페이지에서 원하는 종류(공동주택, 표준 단독주택, 개별단독주택, 표준지, 개별)를 선택 한 뒤에 주소만 입력하면 바로 확인 가능합니다. 개별공시지가 조회라고 검색했을 때 많은 유사 사이트가 나오는데,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사이트가 아니기 때문에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3. 2021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방법 (모바일)
어플 검색창에서 '한국 부동산원'이라는 어플을 다운로드하시면 됩니다. 기존 한국감정원의 명칭이 한국 부동산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어플 다운로드 후 PC와 마찬가지로 주소만 입력하면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어플도 유사 어플이 상당히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정확하지 않은 정보를 얻게 되고 시간 낭비하게 될 수 있습니다. 한국 부동산원에서 정확한 개별공시지가 조회를 하시기 바랍니다.
2007년 최고점 이후 들락날락하던 공시지가가 2015년부터 꾸준히 약 5% 상승률을 보이다가 이번 2021년에 19.08% 상승(경기 23.96%, 서울 19.91% 최고치ㅣ세종:70.68%)이라는 높은 상승률을 보여주고 있어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세금 등 각종 계산의 기초자료가 되는 만큼 정확한 정보를 조회하는 방법을 꼭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2021년 개별공시지가 조회'관련 포스팅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부동산 > 부동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약 예치금 기준과 청약통장 추천 납입금액 (0) | 2021.09.01 |
---|---|
아파트와 오피스텔 전용면적은 같지만 다른 실평수 (0) | 2021.07.19 |
댓글